2025년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으로 총 4회의 TV 토론회가 예정되어 있습니다. 이 중 3회는 주요 정당 후보들이 참여하며, 1회는 미초청 후보자들을 위한 특별 토론회입니다.
📅 2025년 대선 후보자 TV 토론 일정
회차 | 일시 | 주제 | 사회자 | 방송사 |
1차 | 5월 18일(일) 20:00~22:00 | 저성장 극복과 민생경제 활성화 방안 | 편상욱 (SBS 기자) | SBS |
특별회차 | 5월 19일(월) 22:00~24:00 | 미초청 후보자 토론 (주제 미정) | 고희경 (SBS 기자) | SBS |
2차 | 5월 23일(금) 20:00~22:00 | 사회 갈등 극복과 통합 방안 | 이윤희 (KBS 기자) | KBS |
3차 | 5월 27일(화) 20:00~22:00 | 정치 양극화 해소 방안 | 전종환 (MBC 아나운서) | MBC |
모든 토론회는 지상파 3사(KBS, MBC, SBS)를 비롯한 다양한 채널과 온라인 플랫폼에서 생중계됩니다.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유튜브 채널, 네이버TV, 카카오TV 등에서도 시청하실 수 있습니다.
🗳️ 주요 후보자 및 토론 주제
초청 대상 후보자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, 국민의힘 김문수, 개혁신당 이준석, 민주노동당 권영국 후보 등 4명입니다. 이들은 각 토론회에서 다음과 같은 주제를 다룰 예정입니다
- 경제 분야: 저성장 극복과 민생경제 활성화 방안
- 사회 분야: 사회 갈등 극복과 통합 방안
- 정치 분야: 정치 양극화 해소 방안
특히 1차 토론회에서는 '트럼프 시대 통상 전략'과 '국가 경쟁력 강화 방안'에 대한 공약 검증 토론도 진행됩니다.
🔍 시청 방법 및 다시 보기
- 생중계 채널:
- 지상파 방송: KBS, MBC, SBS
- 기타 방송사: 국회방송, KTV국민방송, 복지TV, 아리랑 TV
- 온라인 생중계: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유튜브,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유튜브, 네이버TV, 카카오TV
- 다시 보기:
-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됩니다.
이번 TV 토론회는 후보들의 정책과 비전을 비교하고, 각자의 국정 운영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입니다. 유권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시청을 바랍니다.
https://www.youtube.com/@tvdebates
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
선거방송토론위원회는 후보자 TV토론회 등을 공정하게 주관 · 진행하기 위하여 「공직선거법」 재8조의7(선거방송토론위원회)에 따라 각급선거관리위원회에 설치된 기관입니다.
www.youtube.com
📌 대선 TV 토론 시 시청 포인트
1. 🗳️ 정책의 실현 가능성과 구체성
- 단순 구호나 이상론이 아니라 구체적인 실행 계획이 있는지 확인하세요.
- 예: "청년 일자리 늘리겠다" → **어떻게? 언제까지? 어느 부처와 협력해?**가 있는지.
- 현실적인 재원 마련 방안이나 법 개정이 필요한 사안이라면,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후보가 신뢰도 높습니다.
2. 🤔 논리력과 사실 기반 주장
- 상대방의 주장을 반박할 때 논리적이고 정제된 언어로 설명하는지를 봅니다.
- 팩트 체크가 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말하는지도 중요합니다.
- 감정적이고 선동적인 표현보다는 근거 중심의 주장을 하는 후보가 안정적 리더십을 보여줍니다.
3. 🤝 태도와 리더십 스타일
- 다른 후보나 사회자에게 예의와 존중을 갖추는 태도도 중요한 판단 기준입니다.
- 상대방 의견에 대한 경청 태도, 협치 의지 등을 통해 정치적 성숙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.
- 공격적이고 고압적인 태도는 향후 국정 운영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입니다.
4. 💡 가치관과 시대정신에 대한 감각
- 노동, 젠더, 환경, 지역 균형 발전, 미래 기술 등 시대적 화두에 대해 어떤 철학과 입장을 갖고 있는지를 체크하세요.
- 특히 노란봉투법 같은 쟁점에서 노동·경제·공정성에 대한 관점을 드러냅니다.
5. 🔄 과거와 현재를 잇는 일관성
- 후보의 과거 발언이나 정책과 현재 입장이 얼마나 일관성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.
- 선거 때만 달콤한 말로 표를 얻으려는 전략인지, 평소 행보와 맞는 진심인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.
📋 실전 예시: 이런 질문을 던져보세요
- "이 공약은 어떻게 실행할 계획이지?"
- "이 공약에 필요한 예산은 어떻게 조달할까?"
- "다른 후보의 비판에 어떤 근거로 대응하고 있지?"
- "토론 태도에서 국민을 어떻게 대할지 느껴지는가?"
- "이 후보는 나와 비슷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을까?"
📌 Tip: 단순히 '말을 잘한다', '공격을 잘한다'보다 "국정을 믿고 맡길 수 있는 사람인가? 라는 질문을 중심에 두고 보는 것이 핵심입니다.